본문 바로가기
나를 알고 너를 알기/에니어그램

에니어그램이란 무엇인가?

by 써니-10 2023. 6. 2.
반응형

에니어그램 유래 

 

에니어그램 역사는 기원을 정확히 추정할 수는 없지만, 지금으로부터 4,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시작은 바빌론과 중동지역에서 비밀스럽게 전수되었습니다. 

에니어그램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은 이슬람교 수도승들이었던 수피들에 의해서입니다. 

이들은 에니어그램의 9가지 속성들이 신이 가진 9가지 일면이라 여기며 

에니어그램의 사상을 신의 정체성으로 알리고자 했습니다. 

그들은 에니어그램 사상을 구두로만 전했습니다. 

 

에니어그램을 현대에 소개한 인물은 '구르지예프'인데

그는 소련 모스크바 서클의 정신적 지주였습니다. 

구르지예프는 에니어그램을 청소년들의 인성개발 도구로 사용하였고, 

말이나 글이 아닌 동작과 명상을 통한 무브먼트 활동으로 전했습니다. 

 

에니어그램의 시스템이 체계화된 것은 '볼리비아 이차조'에 의해서였습니다. 

이후 '리소'와 '허드슨'이 성격심리학적 접근으로 재정립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에니어그램 정의 

 

'에니어그램'은 '에네아 ennea(9)'와 '그라모스 gramos(점, 선, 도형)'란 단어를 합성한 희랍어입니다. 

'9개의 점이 선으로 이어진 도형'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심리학적으로 정의하자면, 

'9가지 인간의 타고난 성격' 혹은 '9가지 무의식적인 습관적 태도와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에니어그램은 성격의 범주에만 국한된 이론이 아닙니다. 

에니어그램을 배우는 진정한 목적은 

자신의 타고난 성격 유형을 알기 위한 것이 아니라 

'진정한 나'를 되찾기 위한 것입니다. 

 

사람이 가장 건강할 때는

지적,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영적의 모든 영역이 

전인적으로 균형 잡힌 상태입니다.

이런 상태에 있을 때 우리는 스스로를

'신성한 상태' 혹은 '진정한 나'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에니어그램은 페르소나(가면)의 사회적 인격으로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잃어버린 '진정한 나'를 되찾게 하는 소중한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에니어그램 철학 

 

에니어그램의 철학은 한마디로 

'인성을 뛰어넘어 신성으로' 향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9가지 성격적 습성, 

즉 무의식적이고 습관적인 태도와 본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입니다. 

 

이는 세 가지 과정을 거쳐 성장할 수 있습니다. 

첫째, 자기 관찰 - 자신의 타고난 성격적 모습을 알고, 집착을 발견하는 수준 

둘째, 자기 이해 - 자신의 집착에 대한 뿌리를 찾고 그 원인을 이해하는 수준 

셋째, 자기 변형 - 자신의 집착으로부터 벗어나 해방되어 자유를 찾는 수준 

 

 

 에니어그램 도형 

 

원 = 우주적 인간, 성격의 완성, 이상향, 영혼의 수준,

        인간 자신의 모습을 온전히 자각하고 성찰하여 깨달음을 얻게 되었을 때의 궁극의 상태 

삼각형 = 균형적 인간, 전인의 완성, 지적, 신체적, 정서적, 영적인 에너지가 균형을 이룬 상태 

헥사드 = 에너지 흐름의 순환(역동성), 성장과 퇴보, 발전과 후퇴를 거듭함 

               성격에너지는 정지되어 있지 않고 일정한 법칙에 따라 연속적으로 순환함

 

에니어그램 상징 도형

 

 

 

반응형